우리 협회 사회공헌사업②
시·도회에서 추진 중인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사업
사회적 취약계층의 노후주택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사업이 다양한 영역에서 진행 중이다.
‘행복 둥지사업’, ‘G-Housing 사업’, ‘행복주택 사업’, ‘사랑의 집 가꾸기 사업’ 등 명칭도 다양하며 사회적 관심도 높다.
우리 협회는 다수의 시·도회가 장기간에 걸쳐 지역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에 참여해 왔다.
특히 2023년 들어 중앙회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시·도회의 참여폭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글 정용식
정책고문
-
공공기관과 기업이 함께하는 집수리사업
-
자치단체에서 직접 사업을 진행하거나 봉사단체 및 기관들이 참여하는 집수리사업이 전국 각지에서 실시되고 있는 가운데, 많은 주택건설업체들이 집수리사업에 동참하고 있다.
✸ 건설회사 직원들과 공무원들이 ○○○씨의 수세식 화장실을 양변기로 바꿔주었다. 이는 ◇◇구청과 △△종합건설이 ‘저소득층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 사업’을 공동 추진하는 것으로, 기업이 연간 1,200만원을 들여 구청이 선정한 저소득층 가구를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한다.
✸ □□시청은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주거권 향상을 위해 (주)◎◎◎건축과 주거환경개선 지원 협약을 체결하여 매년 농촌지역 취약계층 2가구 이상에 가구당 1,000만원 상당의 도배 및 장판, 단열, 지붕 개량 등 주거환경 개선을 지원하고, 시는 대상 가구 발굴 및 행정적 지원을 한다. (주)◎◎◎건축은 2020년부터 3년간 7가구에 온기 가득한 집을 선물했다.
✸ ○○군은 도시재생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20년 이상 된 노후주택에 대한 ‘집수리 지원사업’을 실시한다. 지원 금액은 집수리 총사업비의 90%까지(호당 최대 1,000만원) 지원되며, 자부담은 10%다. 이 사업은 주택의 외부 경관개선(지붕, 옥상, 외벽, 대문, 담장 등)을 중점 지원한다.
✸ ◎◎시 자원봉사센터 주관으로 집수리가 필요한 독거노인,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가구에 도배, 장판, 싱크대, 창문, 화장실, 전등 교체 등을 지원해 주는 ‘자원봉사자 재능 나눔 사랑의집 가꾸기 사업’이 실시됐다. 이 사업을 위해 관내 5개 기업이 총 4,500만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지정 기탁 했다.
✸ 법무부 보호관찰소는 ○○업체의 후원을 받아 아동학대 피해를 입은 3가구에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실시했다. 이는 아동보호전문기관과의 업무협의로 수혜자를 발굴해 공부방을 꾸미고 노후화된 마룻바닥과 출입문 등을 교체하는 피해 자녀들을 위한 맞춤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이다.
-
우리 협회 시·도회가 펼치는 각종 주거지원사업
-
우리 협회는 시·도회별로 취약계층의 주거환경개선과 관련된 공헌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 들어 중앙회의 지원을 받아 참여가 확대되고 있다.
✸ 서울시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서울시 긴급·위기가정 지원사업’을 3년전부터 매년 1,000만원씩 지원하고 있고, 올해부터 매년 2,000만원을 들여 ‘취약계층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신규사업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 부산시회는 취약계층 주택보수를 위한 ‘행복둥지사업’에 지난 6년간 1억 6,000만원을 사용했고, 지난 3년간 ‘HOPE 주택 프로젝트’에도 참여하고 있으며 ‘SOS보수 기동반 긴급 주택보수지원사업’에도 매년 1,000만원씩 들여 올해로 3년째 진행하고 있다.
✸ 광주전남도회는 전라남도와 ‘행복둥지사업’을 6년간 진행했으며, 광주광역시와 ‘사랑의 보금자리사업’을 3년간 실시한 바 있다. 현재는 새로운 형태의 공헌사업으로 전환을 준비중이다.
✸ 경기도회는 지난 15년간 ‘G-Housing 사업’을 추진했으며 올해는 ‘주거취약계층 집수리 지원사업’을 중앙회의 지원하에 확대 실시할 계획이다.
✸ 제주도회는 ‘풍수해 사회공헌사업’을 제주시와 지역의 여러 공공단체와 함께 4년전부터 시행 중에 있다.
✸ 대구시회, 인천시회, 충북도회에서도 올해 중앙회의 마중물 지원을 받아 2023년 신규사업으로 ‘희망의 집수리 지원사업’ 을 준비하고 있다.
-
주택업계 맞춤형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
ESG(환경, 사회책임, 지배구조) 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며 기업 및 공공기관은 맞춤형 사회공헌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높이고 있다. 특히 ‘취약계층 주거환경 개선사업’은 주택건설 업계의 특성을 잘 반영한 사업이기에 우리 협회에서도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 중이다.
기업의 목적 실현을 위해 지역사회 공동체와 공생을 도모하는 사회공헌사업에 주택건설업계 개별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도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