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호

Quick menu

TOP

  • HOME 단기간 주택시장 침체 우려 주택경기전망조사(1분기)

2025년 1분기 주택경기 전망

단기간 주택시장 침체 우려

2025년 1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조사 · 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 개요
목적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조사대상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조사기간
2024. 12. 12 ~ 12. 30
조사방법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업체 중
109개업체 답변(답변률:36%)
분석방법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2025년 1분기 주택경기동향

설문에 응한 109개 주택건설업체 중 64개업체(59%)가 2024년 4분기보다 주택경기가 침체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41개업체(37%)는 지난해 4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한 반면, 4개업체(4%) 만이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56%), 회복(26%)〕보다 매우 악화된 수준이다.
이같은 조사결과는 국내 대통령 탄핵정국에 따른 정치 리스크, 단기간 주택시장 호전 불투명성, 장기적인 실물경제 침체 우려 등으로 인해 단기간 주택시장 연착륙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2025년 주택경기 침체이유
세부항목별 주택경기 전망 <2025년 1분기 전망(2024년 4분기 대비)>
2025년 1분기 자재수급동향 <2025년 1분기 전망(2024년 4분기 대비)>
2025년도 연간 집값흐름 전망
  • 2025년도 주택건설경기에 영향을 미칠 가장 큰 변수
  • 주택업체별 ‘2025년도 분양전략’
  • 2025년도 소비자가 아파트 선택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항
  • 2025년도 주택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
  • ‘대통령 탄핵정국’이 올해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
  • 2025년도 부동산시장 견인예상 상품
2025년도 업체별 주택공급 계획물량
PF시장의 연착륙을 유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안
정부의 주택정책 개선 필요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