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관련용어정리
부동산PF는 한국경제의 혈액과 같다.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 체력이 좋아지지만 공급이 감소하거나 순환이 막힌다면 경제 전반에문제를 일으킨다. 정부도 부동산PF의 중요성을 알고 정상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한국경제 순환의 핵심 부동산PF 용어를 알아보자.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주임
부동산 PF(Project Financing)
(Project Financing)

특정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평가해 자금을 대출받고 잠재적인 미래가치를 주된 보증으로 함
브릿지론

금융사가 공사의 착공을 위해 토지계약대금, 인허가, 수익계획 등을 세우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초기 사업비를 지원하는 것. 보통은 토지매입을 위한 자금이 대부분
본PF

공사단계에서 공사비 지급 등을 목적으로 받는 대출. 본PF 대출 계약이 체결되면 해당 대출금을 활용해 이전의 브릿지론을 상환
EXIT 분양률

PF대출 원금이 상환될 수 있는 분양률.분양수입금 100억 중 70%는 대출금 상환, 30%는 사업비로 사용하고 PF대출금은45억일 경우 EXIT 분양률은 64.3%가 됨
EXIT 분양률=
PF대출 (45억)
대출금 상환재원 (100억×70%)
=64.3%

대주단

부동산 건설사업을 추진하는 시행사나 시공사에 대출을 해준 금융회사(보험, 증권, 여신전문사, 저축은행, 상호금융 등)를 의미. 2개 이상의 기관이 투자에 참여하면 통틀어서 대주단이라고 부름
차주단

투자를 받은 사람들의 집단으로 돈을 빌린 주체들의 모임을 말함
책임준공확약

일정 기간까지 건물을 짓겠다는 약속이자 물리적 담보. 부동산PF대출 시 시공사의 책임준공확약이 중요한 리스크 관리 장치로 활용됨
GP(General Partner)
(General Partner)

투자자들에게 시행사, 시공사, 사업계획 등 투자에 필요한 전반적인 자료를 제공하고 투자를 유치하는 역할을 함(운용사, 증권사 등)
LP(Limited Partner)
(Limited Partner)

특정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 프로젝트의 사업성을 평가해 자금을 대출받고 잠재적인 미래가치를 주된 보증으로 함
신탁사

시행사를 대신해 자금을 운용하고 감독하는 역할. 더 나아가 부동산의 명의, 대출금, 사업비, 인허가 등 사업주체의 지위까지 신탁사에게 맡겨둘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