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

인플레이션 관련
경제용어정리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한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2022년 2월 기준 7.5%를 기록하며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국 소비자물가지수는 2022년 2월 기준 3.6%를 기록했고 국제유가의 상승과 글로벌 공급망 차질, 내수회복에 따른 수요증가로 4%대에 근접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물가 상승의 주범 인플레이션과 관련된 용어들을 ‘알아두면 쓸모있는(알쓸)’ 용어사전에서 정리한다.
정리 계원석 전략기획본부 홍보부 사원
-
인플레이션 관련 용어
- • 인플레이션
-
-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전반적으로 꾸준히 오르는 경제현상
수요의 증가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생산비용의 증가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 수요 인플레이션: 총 수요가 총 공급을 웃돌 때 생기는 물가상승
- • 비용 인플레이션: 생산비용이 상승해 물가를 끌어 올리는 인플레이션
-
- • 하이퍼인플레이션
-
- 통제상황을 벗어나 1년에 수백% 이상으로 물가상승이 나타나는 경우.
일반적으로 정부나 중앙은행이 과도하게 통화량을 증대시킬 경우 발생하게 된다. - • 디플레이션
-
- 경제 전반적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통화량의 축소와 과잉 공급에 따른 잉여생산성으로 인해 발생한다. -
- 과거의 공황이나 대공황 모두 디플레이션으로 인해 촉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보다 위험하고 해결하기 어려운 현상으로 본다. -
-
물가 지표 관련 용어
- • 소비자 물가지수(CPI)
- - 일반 가구가 소비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구입하는 각종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표로 소비자 물가지수의 상승은 실질임금의 하락을 의미하므로 임금인상의 기초자료로 널리 이용됨
- • 생산자 물가지수(PPI)
- - 기업상호간에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수
-
유동성 관련 용어
- • 양적완화
- - 국가기관이나 중앙은행 등에서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시중에 화폐를 공급하는 것. 주로 정부가 국채를 매입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 • 테이퍼링
- - 시중에 공급하는 화폐의 양을 점차 줄어나가는 것
- • 양적긴축
-
- 국가기관이나 중앙은행 등에서 시중에 공급했던 유동성을 회수하는 것.
주로 정부가 국채를 매각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