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2022년 1분기 주택경기 전망

부동산시장 경착륙 우려

올해 1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하여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 조사·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개요
  • 목적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조사결과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조사기간 2021. 12. 13 ~ 12. 30
  • 조사 대상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조사 방법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 설문조사대상 300개 업체 중 136개업체 답변(답변율:45%)
  • 분석 방법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2022년 1/4분기 주택경기동향
61% 26% 13% 불변(63업체) 회복(27업체) 침체(14업체)

설문에 응한 136개 주택건설업체 중 81개업체(60%)가 2022년도 1/4분기의 주택경기를 2021년도 4/4분기와 비슷할 것으로 응답했으며, 38개업체(28%)는 4/4분기보다 침체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4/4분기 주택경기 전망〔불변(56%), 회복(33%)〕보다 다소 악화된 수준이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실물경제 부진, 점진적 금리인상, 3.9 대통령선거로 인한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인해 호전추세를 이어가던 주택시장이 경착륙할 것으로 우려되는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1분기 주택경기 침체이유
37% 점진적인 금리인상 예상
24업체
23% 부동산 추가 규제대책
시행 예상 15업체
20% 주택시장 불확실성 증대
13업체
10% 기존주택시장 회복예상
7업체
5% 실물경기회복 불투명성
3업체
5% 기타
3업체
세부항목별 주택경기전망
<2022년 1/4분기 전망(2021년 4/4분기 대비)>
  • 주택가격 61% 20% 19% 상승 보합 하락
  • 분양실적 45% 30% 25% 불변 호전 악화
  • 주택건설물량 38% 34% 28% 불변 증가 감소
  • 자금사정 50% 44% 6% 불변 악화 호전
  • 택지 보유량 46% 38% 16% 불변 증가 감소
  • 자재 구입량 44% 32% 24% 불변 증가 감소
1/4분기 자재수급동향
<2022년 1/4분기 전망(2021년 4/4분기 대비)>

수급양호

공급부족

공급과잉

철근 레미콘 골재 시멘트 내 ·외장재 기타자재 40% 38% 36% 36% 36% 49% 60% 63% 63% 51% 61% 63% 1% 1% 1% 1%
  • 2022년도 연간 집값흐름 전망
    보합세 유지 후 하반기부터 완만한 하락국면 전환(31업체) 23% 21% 보합세 유지 후 하반기부터 상승국면 전환(29업체) 18% 연간 보합세 유지(24업체) 기타(3업체) 2% 15% 연간 완만한 하락국면 유지(20업체) 21% 연간 완만한 상승국면 유지(29업체)
  • 2022년도 주택건설경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요인
    정부의 고강도 부동산규제정책 지속여부(59업체) 40% 3월 대통령선거(34업체) 23% 금리기조(26업체) 18% 실물경기 호전여부(10업체) 7% 코로나19 지속여부(7업체) 5% 주택수급문제(7업체) 5% 가계부채문제 해결여부(2업체) 1% 기타 (1업체) 1%
  • 2022년도 업체별 주택공급 계획물량
    미정(61업체) 45% 2021년 수준 유지(38업체) 28% 2021년보다 축소(9업체) 7% 2021년보다 확대(27업체) 20%
  • 2022년도 부동산시장을 견인할 상품
    신규분양아파트(82업체) 33% 재개발·재건축아파트(81업체) 32% 임대아파트(27업체) 11% 토지(6업체) 3% 전원주택·상가주택(5업체) 2% 기타(3업체) 1% 오피스텔·주상복합주택(39업체) 16% 업무용빌딩·상가(5업체) 2%
  • 주택사업여건 개선을 위해
    정부가 시급히 추진해야 할 부동산대책
    소비자 주택금융규제 완화(110업체) 44% 도심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도시관리정책 개선(33업체) 13% 민간건설임대주택 주택도시기금 지원 확대(25업체) 10% 주택법 통합심의 의무화(19업체) 8% 공공건설임대주택 표준건축비 인상(9업체) 4% 기타(8업체) 3% 도시재생사업 민간참여 활성화(31업체) 12% 주택사업 기부채납 초과부담 완화(15업체) 6%
  • 제20대 대통령선거의
    부동산시장 활성화 기여 여부
    어느 정도 기여할 것(76업체) 56% 크게 기여할 것(22업체) 16% 모르겠다(11업체) 8% 기여하지 못할 것(9업체) 7% 그저 그렇다(16업체) 12% 기타(1업체) 1%
  • 주택업체별 2022년도 분양전략
    아파트 평면설계 특화(45업체) 틈새분양전략 강화(36업체) 24% IOT·AI기술 등 첨단기술 접목(12업체) 8% 마감자재 차별화(11업체) 7% 공동 커뮤니티공간 차별화(8업체) 5% 기타(4업체) 2% 가격경쟁력 강화(27업체) 18% 분양마케팅 차별화(9업체) 6% 30%
  • 아파트 선택시 최우선 고려사항
    교통·교육·편의시설 여건(93업체) 향후 투자가치(92업체) 33% 브랜드파워·시공사 인지도(28업체) 10% 내부평면·인테리어(5업체) 2% 첨단기술 접목 정도(1업체) 1% 분양가격(46업체) 18% 저탄소·친환경 정도(4업체) 2% 34%
대선후보들에게 바라는 주택정책
(주관식 설문)
주택정책 개선 필요사항
(주관식 설문)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