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지방광역시 점유형태별
이주희망지역

지방광역시에 있는 가구 중 약 7.7%가 이주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유형태별로 이주희망지역에 차이가 나고 있어 사람들의 선호를 고려한 주택사업계획이 필요하다.
  •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
지방광역시 31만 가구,‘이주계획 있다’
자가보다는 전월세가구의 이주 비중 높아
광주, ‘광산구’‘북구’인기

2020년 기준으로 지방광역시에는 약 412만 가구가 살고 있다. 2019년 403만 가구 보다 약 9만 가구가 증가한 규모다. 1년간 부산과 대전은 2만 가구 넘게 증가했고, 대구와 광주도 1만 가구 이상 증가했다. 새로운 주택수요가 발생한 것이다. 신규주택수요는 이주계획에 따라서도 발생할 수 있다. 사람들의 이주희망지역이 주택수요 집중지역이기에 주택사업계획 수립 시 우선적으로 고려해볼 만한 입지가 될 수 있다.
아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방광역시에 있는 가구 중 약 7.7%가 이주계획이 있다. 자가가구보다는 전월세가구의 이주계획 비중이 높은 특성이 있으며, 약 31만 가구 규모다. 즉 지방광역시에서는 31만 가구의 이주수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들 가구가 이주를 원하는 지역이 어딜까.
이주계획이 있는 약 31만 가구가 선호하는 지역을 분류한 결과, 해당 광역시 내에서도 선호하는 지역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광주광역시의 경우 자가가구는 광산구를 가장 선호하지만, 전월세가구는 북구를 가장 선호한다. 성남·파주·화성시 등 경기도 지역도 낮은 비율이지만 선호한다. 사람들의 이러한 선호를 고려한 사업계획 수립도 필요하다.

지방광역시 점유형태별 이주계획 비중과 가구규모
자료: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 재분석 5.0 10.0 15.0 20.0 25.0 30.0 35.0 0.0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경남 대전 충남충북 경북 전남 광주 강원 전북 울산 세종 제주 33.0 30.1 5.7 5.03.9 3.3 3.1 2.6 2.1 2.0 1.8 1.8 1.8 1.7 1.3 0.7 0.3 (%)
지방광역시 점유형태별 이주희망지역
5.0 10.0 15.0 20.0 25.0 30.0 0.0 서울 경기 인천 부산 대구 경남 대전 충남충북 경북 전남광주 강원 전북 울산 세종 제주 26.0 19.1 16.5 15.6 15.5 12.2 11.0 9.8 9.49.0 8.8 8.47.6 7.4 7.2 5.5 3.4 (%)
하남시 고양시 용인시 성남시 남양주시 안양시 의정부시 수원시 김포시 이천시 군포시 구리시 과천시 부천시 파주시 35.0 30.0 25.0 20.0 15.0 10.0 5.0 0.0 (%) 서울시 전세가구가 이주 희망하는 경기도 지역 자가 희망지역 전세 희망지역 주 : 2019년 주거실태조사(국토교통부)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해 서울시 전세가구 중 이주희망가구를 대상으로, 경기도 지역내 이주희망지역과 이주 점유방식을 분석하여 도출함 24.9 1.3 8.5 8.3 9.5 4.6 3.2 2.8 2.2 2.2 7.9 14.2 10.5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