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
지역특성을 고려한
주택사업계획을 수립하라
주택사업계획 시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가구의 특성을 파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지역마다 연령대 분포가 다르고 연령대별 주택 자가율도 다르기 때문에 주택수요의 특성에도 차이가 발생한다.
-
글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정책연구실장
2025년, 30대의 절반 이상 수도권에 거주
70세 이상 가구의 42.3%도 수도권으로…
갈수록 ‘수도권 집중화 현상’ 심화될 전망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는 2,035만 가구에 달한다. 이 가운데 48.7%(117만 7,000가구)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경기도에 494만 가구, 서울에 385만 가구, 인천에 117만 7,000가구가 거주한다.
연령별로 봤을 때 수도권 집중도는 30대가 54.7%로 가장 높다. 그다음은 40대와 30대미만 가구로 51% 정도다. 반면에 60대 이상 고령가구의 수도권 집중도는 43% 수준이다. 40대 미만 젊은 세대의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심하다고 볼 수 있다.
수도권 집중화 현상은 가구가 늘어나면서 더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2025년이 되면 수도권 집중도는 49.2%까지 증가하고, 30대의 56.6%가 수도권에 살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가구의 수도권 집중도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70세 이상의 가구의 수도권 거주비중이 크게 증가한다.따라서 앞으로는 연령대별 입지 선호도를 고려한 주택사업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연령대별 수도권 집중도 추이
(단위: %)
전국 주택 자가율 58%, 서울은 42.9%에 그쳐
경기, 세종, 대전…전국 평균 밑돌아 주택수요 풍부
서울 30대 중 21.6%만 자기 집에서 살아
주택사업전략을 짤 때 지역별·연령별로 다른 주택 자가율도 고려해야 한다. 전국의 주택 자가율은 58%이며, 서울은 42.9%로 전국 평균보다 낮다.
서울 외에 전국 평균을 밑도는 지역은 경기, 세종, 대전이다. 주택 자가율로만 보더라도 이들 지역의 내 집 마련 욕구가 다른 지역보다 높을 수 밖에 없다. 자기 소유로 되어 있는 집에서 살지 않는 가구가 많은 곳일수록 주택수요가 풍부한 시장이라고 볼 수 있다.
자가율은 연령대와 지역에 따라 제각각이다. 전국적으로 30대는 40% 정도가 자기집에서 살고 있다. 그런데 서울은 절반 수준이다. 30대 중에서 21.6%만 자기 집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지금처럼 전월세값이 급등하면 주거불안을 느껴 집사기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
서울에 전월세로 살고 있는 30대를 대상으로 하는 주택상품을 구성한다면, 이들이 대체주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입지와 주택유형, 가격대, 평면 등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경기도와 대전도 30대 자가율이 40%에 못미친다. 그러나 부산과 울산에 살고 있는 30대는 50% 정도가 자기집에서 살고 있다.
광주 - 60대 이상 가구 자가율 81%로 최고
대구 - 40대, 대전 - 30대 가구 자가율 낮아
지역별·연령별 다른 수요특성 고려해야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자가율도 높아진다. 40~50대의 자가율은 60%정도이며, 60대를 넘어서면 자가율이 70%를 상회한다.
특히 광주광역시는 다른 광역시보다 자가율이 매우 높다. 60대 이상 가구의 자가율은 81% 정도다. 이미 자기집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 지역에서 신규 주택을 공급하려면, 자기집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이 어떤 집을 원하는지 더 꼼꼼히 따져야 한다.
반면에 대구와 대전의 자가율은 타 광역시보다 낮다. 그렇지만 자가율이 낮은 연령대가 다르다. 대구는 40대, 대전은 30대의 자가율이 평균적으로 낮기 때문에 이들을 공략할 수 있는 전략상품이 필요할 수 있다.
수요맞춤형 시대에서는 일단 짓고 판매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점점 더 어려워질 수 밖에 없다.
지역별로 연령별로 다른 수요특성을 잘 따져서 주택상품을 구성해야 한다.
지역별 연령대별 자가율
(단위 : %)전국 | 서울 | 경기 | 인천 | 부산 | 대구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
가구수 | 계 | 2,035.0 | 385.0 | 494.0 | 111.7 | 136.6 | 96.3 | 59.0 | 61.0 | 43.4 | 13.3 |
30세미만 | 151.7 | 41.4 | 29.8 | 6.4 | 9.5 | 6.1 | 5.3 | 7.6 | 2.1 | 1.7 | |
30대 | 298.1 | 64.6 | 81.4 | 17.0 | 16.3 | 12.3 | 8.9 | 9.1 | 6.7 | 3.0 | |
40대 | 424.2 | 75.0 | 118.8 | 25.2 | 25.0 | 19.8 | 13.4 | 12.6 | 9.8 | 3.5 | |
50대 | 478.1 | 82.6 | 123.0 | 28.8 | 31.6 | 24.4 | 14.1 | 13.9 | 11.9 | 2.4 | |
60대 | 368.6 | 66.7 | 82.1 | 20.1 | 29.8 | 18.6 | 9.5 | 10.2 | 8.2 | 1.5 | |
70세이상 | 314.3 | 54.7 | 59.0 | 14.2 | 24.4 | 15.0 | 7.8 | 7.6 | 4.7 | 1.1 | |
자가율 | 계 | 58.0 | 42.9 | 53.6 | 60.1 | 62.2 | 59.8 | 63.1 | 53.8 | 64.1 | 53.3 |
30세미만 | 5.0 | 2.9 | 4.8 | 9.3 | 5.9 | 2.6 | 6.5 | 0.5 | 14.4 | 1.6 | |
30대 | 39.3 | 21.6 | 34.5 | 44.8 | 51.0 | 49.3 | 45.1 | 36.8 | 55.0 | 42.2 | |
40대 | 59.7 | 46.4 | 56.9 | 64.6 | 64.0 | 57.5 | 67.5 | 62.6 | 63.1 | 61.9 | |
50대 | 63.6 | 49.6 | 59.8 | 63.2 | 65.3 | 63.8 | 70.6 | 64.1 | 72.2 | 66.9 | |
60대 | 72.6 | 59.3 | 68.0 | 73.6 | 71.5 | 73.7 | 81.6 | 71.1 | 74.8 | 79.4 | |
70세이상 | 77.2 | 66.7 | 69.9 | 72.3 | 77.3 | 74.7 | 81.4 | 73.6 | 67.9 | 75.9 |
- 자료 :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및 국토교통부, 2019년 주거실태조사 재분석 가구수는 장래가구추계 2020년 자료이며, 자가율은 2020년 주거실태조사는 미공표로 2019년 자료임.
- 전국 평균 자가율 자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낮은 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