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container

올해 3분기 주택경기 전망,

주택업체 48%, 2분기보다 침체 예상

올해 3분기 주택경기전망조사 결과를 소개한다. 이 조사는 협회가 연중 4회 분기마다 실시해 회원사 사업추진 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있다.
  • 조사·분석 전략기획본부
조사개요
  • 주택건설업계가 체감하는 주택경기전망 파악
  • 2020. 6. 11 ~ 6. 29
  • 전파, 회원사 사업추진 참고자료로 활용
  • 설문서 우편발송, 우편 및 팩스(Fax)로 설문서 회수
    -설문조사대상 300개 업체 중 112개업체 답변(답변율:37%)
  • 전국 주택건설업체 대표 300개사(회원사)
  • 항목별 응답내용을 답변횟수로 환산, 백분율 분석
3/4분기 주택경기동향은
회복(22업체) 불변(36업체) 침체(54업체) 20% 32% 48%

2020년 3/4분기 주택경기 전망〔응답자 80%가 침체(48%), 불변(32%)〕은 지난 2/4분기 주택경기 전망〔응답자 89%가 침체(59%) 또는 불변(30%)〕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되고 있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실물경기 침체 우려, 고강도 주택규제 강화대책 지속, 지방 주택경기 침체 지속 등의 ‘악재’로 인해 주택시장이 연착륙에 실패할 것이라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3/4분기 주택경기 침체이유는
38% 37업체
추가 부동산
규제대책 시행 예상
27% 26업체
실물경기회복
불투명성
21% 21업체
주택시장
불확실성 증대
8% 8업체
기존주택시장
회복 지연
1% 1업체
점진적인
금리상승
5% 5업체
기타
세부항목별 주택경기전망
< 2020년 3/4분기 전망 (2020년 2/4분기 대비) >
  • 주택가격 보합 상승 하락 50% 37% 13%
  • 분양실적 악화 불변 호전 41% 38% 21%
  • 주택건설물량 감소 불편 증가 50% 34% 16%
  • 자금사정 악화 붎변 호전 57% 31% 12%
  • 택지 보유량 감소 불변 증가 46% 44% 10%
  • 자재 구입량 불변 감소 증가 45% 44% 11%
3/4분기 자재수급동향
< 2020년 3/4분기 전망 (2020년 2/4분기 대비) >

수급양호

공급부족

공급과잉

  • 철근

    79%

    14%

    7%

    79%

    14%

    7%

  • 골재

    88%

    9%

    3%

    88%

    9%

    3%

  • 레미콘

    85%

    9%

    6%

    85%

    9%

    6%

  • 시멘트

    90%

    4%

    6%

    90%

    4%

    6%

  • 내·외장재

    85%

    8%

    7%

    85%

    8%

    7%

  • 기타자재

    88%

    5%

    7%

    88%

    5%

    7%

  • 3/4분기 부동산시장에서 가장 인기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상품
    34%, 26%, 12%, 11%, 9%, 3%, 3%, 2%

    신규분양아파트(69업체)

    재개발·재건축아파트(52업체)

    임대아파트(24업체)

    오피스텔·주상복합주택(23업체)

    토지(19업체)

    전원주택·별장(6업체)

    업무용 빌딩·상가(6업체)

    기타(4업체)

  • 주택시장 양극화현상 지속기간
    55%, 19%, 6%, 15%, 5%

    2년(59업체)

    1년(20업체)

    1년(16업체)

    기타(16업체)

    6개월(5업체)

  • 3/4분기 부동산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칠만한 요인은
    34%, 26%, 12%, 11%, 9%, 3%, 3%, 2%

    분양권전매 강화 등 정부의 고강도 주택규제정책 지속여부(73업체)

    코로나19 확산여부(40업체)

    실물경기 호전여부(39업체)

    금리기초(17업체)

    글로벌 경제변수(16업체)

    주택 수급문제(16업체)

    미분양아파트 해소여부(11업체)

    기타(4업체)

  • 주택시장 양극화현상 지속기간
    39%, 21%, 14%, 10%, 6%, 5%, 4%, 1%

    LTV·DTI·DSR 등
    주택금융규제 완화(39업체)

    주택사업금융(PF대출)
    보증 활성화(45업체)

    지방광역시 전매제한
    강화방안 재검토(31업체)

    개발부담금 등 각종
    부담금 감면(22업체)

    상업지역 용도용적제
    탄력 적용(12업체)

    주택도시기금
    이자율 인하(11업체)

    무리한 기반시설
    기부체납 요구 금지(9업체)

    기타(4업체)

  • 지방 주택건설경기의 조속한 회생방안은
    33%, 21%, 18%, 18%, 9%, 1%

    지방 미분양아파트 구입자에 대한 양도세 한시적 감면 등 세제지원(40업체)

    소비자가 지방 미분양아파트 매입시 보유주택수에서 제외(26업체)

    지방에 대해서는 잔금대출에 대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배제(22업체)

    지방광역시 분양권전매 강화방안 재검토 필요(22업체)

    주택도시보증공사의 환매조건부 미분양아파트 매입제도 부활(11업체)

    6.기타(1업체)

  • 주택분양권 전매제한 강화방안에 대한 의견
    29%, 28%, 16%, 15%, 12%

    주택경기가 침체된 지방광역시의 경우 분양권전매제한 강화는 재검토 되어야 한다(32업체)

    공급부족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청약과열현상은 지속될 것이다(31업체)

    분양권전매제한 강화시 재개발 입주권시장 등으로 풍선효과가 예상된다(18업체)

    분양권전매제한 시행시기(8월) 이전에 분양이 몰려 청약과열이 우려된다(16업체)

    실수요자 위주 청약으로 개편될 것으로 기대된다(13업체)

문재인 정부 출범 3년, 부동산정책 평가
  • 실패다 48% 63업체
  • 모르겠다 39% 43업체
  • 성공적이다 4% 4업체
3년 평가 관련 실패 요인은
  • 47%

    ▲ 정부의 지나친 부동산시장 개입에 따른 시장왜곡(35업체)
  • 21%

    ▲ 서울·수도권지역(온기)과 지방지역(냉기) 간부동산경기 양극화현상 심화(16업체)
  • 16%

    ▲ 지속적인 고강도 부동산쥬게정책 시행(12업체)
  • 15%

    ▲ 부동산시장 상황에 맞춘 탄력적 정책 부재(11업체)
  • 1%

    ▲ 기타(1업체)
바람직한 주택공급 인허가 간소화방안은(주관식 설문)
  • 새로운 전산망으로 인허가 과정
    단순화 필요 8%(2업체)

    경관심의, 사업심의, 구조안전심의 등
    일부 심의 통합 필요 21%(5업체)

  • 국토부 차원의 인허가 간소화 관련
    업무지침 필요 13%(3업체)

    인허가 간소화를 담당하는
    브레인기구 필요 8%(2업체)

  • 인허가 담당 부서의 관례적인 업무처리
    지연 해결방안 절실 8%(2업체)

    기타 42%(10업체)

  • 구분

    21%

    13%

    8%

    8%

    8%

    42%

    21%

    13%

    8%

    8%

    8%

    42%

*기타의견으로는 ‘지자체와 사업시행사와의 협조 필요, 분양가상한제 심의위원회 폐지’등이 제시됐다
주택정책 개선필요사항(주관식 설문)
  • 각종 주택금융규제 완화 17%(4업체)

    규제일변도 부동산정책
    탈피 필요 13%(3업체)

  • 정부의 지나친 시장개입 자제 13%(3업체)

    지방과 서울·수도권지역에 대한
    차별화 된 부동산정책 필요 8%(2업체)

  • 정부정책의 일관성 유지 13%(3업체)

    소규모 주택벙비사업 활성화 8%(2업체)

    기타 28%(7업체)

  • 구분

    17%

    13%

    13%

    13%

    8%

    8%

    28%

    17%

    13%

    13%

    13%

    8%

    8%

    28%

*기타의견으로는 ‘공공택지 참여 자격조건 완해 필요’등이 제시됐다

서비스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