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iner

고조되는 청약 열기
2020년 청약 결산
분양시장이 뜨겁다. 인근 시세보다 저렴하게 공급되는 물량이나 일명 ‘줍줍’ 물량에는 수십만명이 몰리고 있다.2020년 뜨거웠던 청약현황을 살펴본다.
정리 김우영
출처 부동산114
-
2020년 분양물량, 하반기 2배 늘었다
- 2020년에는 전국에서 38만 가구가 공급됐다. 코로나19로 인해 분양일정이 지연되면서 상반기 분양물량은 13만 가구에 그쳤다. 그러나 청약 열기가 고조되면서 하반기에는 2배 가량 늘어난 25만 가구가 쏟아졌다.
-
연도별 전국 분양물량 (단위 : 호)
-
2020년 분양물량 (단위 : 호)
-
2020년 전국 청약경쟁률 1위 ‘세종’
- 2020년 청약경쟁률이 가장 뜨거웠던 지역은 세종이다. 뒤를 이어 청약경쟁률이 뜨거웠던 서울은 집계가 시작된 2002년 이래 가장 높은 청약경쟁률(76.97 : 1)을 기록했다.

-
청약 평균 커트라인, 서울 · 세종 ‘61점’으로 최고
- 청약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당첨가점도 고공행진하는 모습이다. 특히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진 서울은 청약수요가 대거 몰리면서 60점 이상이어야 당첨을 기대할 수 있는 모습을 보였다.

-
청약경쟁률 TOP 6, ‘100대 1’ 넘는 아파트도 ‘50곳’
-
2020년 평균 청약경쟁률 ‘100대 1’ 넘는 아파트가 전국 50여 곳에 달했다.
특히 7월말 이후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단지들에 청약통장이 몰려 수요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았다.

-
2020년 지역별 평균 3.3㎡당 분양가 TOP 5
- 2020년 전국 기준 3.3㎡당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1,398만원으로 조사됐다. 2020년 아파트 3.3㎡당 평균 매매가 1,541만원보다 저렴한 수준이다. 전역이 고분양가 관리지역에 포함된 서울과 세종의 경우, 매매시세에 비해 현저히 낮게 책정된 분양가가 청약흥행의 기폭제로 작용했다.
